
世(인간 세): 十(열 십)+十(열 십)+十(열 십)
① 世間(세간): 세상 ② 世界(세계): 온 인류 사회
③ 世襲(세습): 한 집안의 작위, 업무 등을 대대로 물려받는 일 ④ 世態(세태): 세상형편
召(부를 소): 刀(칼 도)+口(입 구)
① 召命(소명): 임금이 신하를 부르는 명령 ② 召集(소집): 불러서 모음
③ 召喚(소환): 관청이 특정 개인을 법에 따라 호출하는 것
昭(밝을 소/밝힐 조): 日(날 일)+召(부를 소)
① 昭鑑(소감): 사정을 밝게 비추어 보살핌 ② 昭光(소광): 밝게 반짝이는 빛
③ 昭代(소대): 나라가 잘 다스려져 태평하고 밝은 세상
蔬(푸성귀 소): 艹(풀 초)+疏(트일 소)
① 蔬飯(소반): 변변하지 못한 음식 ② 蔬食(소식): 채소로 만든 음식
③ 蔬菜(소채): 채소
騷(시끄러울 소): 馬(말 마)+蚤(벼룩 조)
① 騷動(소동): 여럿이 싸우거나 떠들어 댐 ② 騷亂(소란): 시끄럽고 어수선함
③ 騷擾(소요): 여러 사람이 술렁술렁 소란스럽게 들고 일어남 ④ 騷音(소음): 시끄러운 소리
燒(불사를 소): 火(불 화)+堯(높을 요)
① 燒却(소각): 불에 태워 없애버림 ② 燒滅(소멸): 태워 없앰
③ 燒失(소실): 불에 타서 없어짐 ④ 燒盡(소진): 모조리 타 버림
疏(트일 소): 疋(짝 필)+ 㐬(깃발 류)
① 疏隔(소격): 교제가 멀어짐 ② 疏略(소략): 주의가 부족함
③ 疏外(소외): 멀리하여 물리침 ④ 疏忽(소홀): 예사롭게 여겨서 정성이나 조심이 부족함
蘇(깨어날 소): 艹(풀 초)+穌(잠 깰 소)
① 蘇塗(소도): 삼한시대의 천신을 제사하던 성지 ② 蘇生(소생): 다시 살아남
③ 蘇醒(소성): 잃었던 정신이 깨어남 ④ 蘇息(소식): 숨을 돌려서 쉼
訴(아뢸 소): 言(말씀 언)+斥(물리칠 척)
① 訴訟(소송): 재판을 청구함 ② 訴願(소원): 호소하여 청원함
③ 訴追(소추): 검사가 특정 사건에 관하여 공소를 제기하고 유지하는 것
掃(쓸 소): 扌(손 수)+帚(비 추)
① 掃滅(소멸): 싹 쓸어서 없앰 ② 掃灑(소쇄): 쓸고 물을 뿌림
③ 掃除(소제): 쓸어서 깨끗하게 함 ④ 掃蕩(소탕): 모조리 제거하여 버림
笑(웃을 소): 竹(대나무 죽)+夭(굽을 요)
① 笑談(소담): 웃으면서 이야기함 ② 笑聲(소성): 웃음소리 ③ 笑顔(소안): 웃는 얼굴 ④ 笑謔(소학): 웃으면 농지거리를 함
素(바탕 소): 垂(드리울 수)의 변형+糸(실 사)
① 素粒子(소립자): 원자를 구성하는 궁극적인 물질 ② 素朴(소박): 꾸밈이 없고 질박함
③ 素飯(소반): 고기 반찬이 없는 밥 ④ 素衣(소의): 색과 무늬가 없는 옷
消(사라질 소): 氵(물 수)+肖(작을 초)
① 消却(소각): 지워 없애 버림 ② 消毒(소독): 병의 감염이나 전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병원균을 죽임
③ 消費(소비): 돈,물건,시간,노력 등을 써서 없앰
少(적을 소): 小(작을 소)+丿(삐칠 별)
① 少女(소녀): 어린 여자 아이 ② 少年(소년): 나이가 어린 사내 아이
③ 少數(소수): 적은 수효 ④ 少時(소시): 젊을 때
所(바 소): 戶(지게 호)+斤(도끼 근)
① 所感(소감): 마음에 느낀 바 ② 所見(소견): 사물을 살펴보고 헤아리는 생각
③ 所管(소관): 어떤 일을 맡아 관리하는 일 ④ 所有(소유): 가지고 있음
小(작을 소) '큰 물체가 흩어져 세 개의 작은 것'으로 나뉘어진 모양의 글자
① 小康(소강): 소란하던 형세가 다소 안정됨 ② 小計(소계): 한 부분만의 합계 ③ 小君(소군): 제후들이 제왕의 처를 일컬음
粟(조 속): 西(초목에 열매가 달린 모양)+米(쌀 미)
① 粟豆(속두): 조와 콩 ② 粟粒(속립): 조의 낟알 ③ 粟米(속미): 조와 쌀
屬(무리 속/잇을 촉): 尸(주검 시)+蜀(벌레 촉)
① 屬官(속관): 관에 속하여 있는 공무원 ② 屬國(속국): 다른 나라의 지배를 받고 있는 나라
③ 屬性(속성): 어떤 사물의 본래의 성질
俗(풍습 속): 亻(사람 인)+谷(골짜기 곡)
① 俗談(속담): 옛적부터 내려오는 민간의 격언 ② 俗物(속물): 배움이 없거나 식견이 좁거나 풍류를 모르는 사람
③ 俗語(속어): 통속적으로 쓰는 저속한 말
續(이을 속): 糸(실 사)+賣(팔 매)
① 續刊(속간): 정지되었던 신문이나 잡지를 다시 간행함 ② 續開(속개): 일단 멈추었던 회의를 다시 계속하여 엶
③ 續出(속출): 계속하여 나옴
束(묶을 속): 木(나무 목)+口(입 구=다발)
① 束縛(속박): 손발을 묶어 구속함 ② 束脩(속수): 입학할 때 내는 돈
③ 束薪(속신): 묶어 놓은 땔나무 ④ 束裝(속장): 행장을 갖추어 차림
速(빠를 속): 束(묶을 속)+辶(쉬엄쉬엄 갈 착)
① 速決(속결): 빨리 결정하거나 처리함 ② 速攻(속공): 재빠른 동작으로 공격함
③ 速記(속기): 빨리 적음 ④ 速步(속보): 빨리 걸음
⑤ 速戰(속전): 재빠르게 싸움
損(덜 손): 扌(손 수)+員(둥글 원)
① 損傷(손상): 물체가 깨지거나 상함 ② 損失(손실): 축나서 없어짐
③ 損害(손해): 해를 봄 ④ 損益(손익): 손해와 이익
孫(손자 손): 子(아들 자)+系(이을 계)
① 孫女(손녀): 아들, 딸의 딸 ② 孫婦(손부): 손자며느리
③ 孫子(손자): 아들, 딸의 아들 ④ 孫枝(손지): 가지에서 또 뻗어나간 가지
誦(욀 송): 言(말씀 언)+甬(물 솟을 용)
① 誦經(송경): 유교의 경전을 읽음 ② 誦讀(송독): 외워서 읽음
③ 誦習(송습): 암송하여 외움 ④ 誦詠(송영): 시가를 외며 읊조림
訟(송사할 송): 言(말씀 언)+公(공변될 공)
① 訟理(송리): 송사를 거는 까닭 ② 訟民(송민): 송사를 일으킨 백성
③ 訟事(송사): 국민끼리의 분쟁을 관청에 호소하여 그 판결을 구하는 일 ④ 訟獄(송옥): 소송, 재판
松(소나무 송): 木(나무 목)+公(공변될 공)
① 松柏(송백): 소나무와 잣나무 ② 松津(송진): 소나무에서 나오는 끈끈한 액체 ③ 松林(송림): 소나무로 이루어진 숲
頌(칭송할 송): 公(공변될 공)+頁(머리 혈)
① 頌歌(송가): 공덕을 기리는 노래 ② 頌德(송덕): 공덕이나 인격을 찬양함 ③ 頌祝(송축): 경사스러움을 칭송하여 축하함
送(보낼 송): 笑(웃음 소)+辶(쉬엄쉬엄 갈 착)
① 送金(송금): 돈을 부쳐 보냄 ② 送達(송달): 보내어 줌
③ 送別(송별): 떠나는 사람을 작별하여 보냄 ④ 送信(송신): 다른 곳에 통신을 보냄 ⑤ 送電(송전): 전기를 보냄
刷(긁을 쇄): 尸(몸 시)+巾(수건 건)+刂(칼 도)
① 刷新(쇄신): 좋지 못한 폐단을 덜어 버리고 좋게 함
② 刷子(쇄자): 모자나 옷을 터는 솔
鎖(자물쇠 쇄): 金(쇠 금)+(자갯소리 쇄:小+貝)
① 鎖骨(쇄골): 가슴의 위쪽에 있는 S자 모양으로 된 뼈
② 鎖國(쇄국): 외국과의 통상을 끊음 ③ 鎖金(쇄금): 자물쇠
衰(쇠할 쇠): 비올 때 도롱이를 걸친 농부의 모습을 본뜬 글자.
① 衰減(쇠감): 쇠하여 줄어듦 ② 衰困(쇠곤): 몸이 쇠약하고 피곤함
③ 衰骨(쇠골): 가냘프게 생긴 골격 ④ 衰微(쇠미): 기운이 쇠하여 잔약하고 미미하여짐 ⑤ 衰殘(쇠잔): 쇠하여 없어짐
囚(가둘 수): 口(에울 위)+人(사람 인)
① 囚禁(수금): 죄인을 가두어 둠 ② 囚役(수역): 죄수에게 일을 시킴
③ 囚人(수인): 옥에 갇힌 죄수
搜(찾을 수): 扌(손 수)+叟(늙은이 수)
① 搜査(수사): 찾아서 조사함 ② 搜索(수색): 구석구석 뒤지어 찾음
睡(졸 수): 目(눈 목)+垂(드리울 수)
① 睡魔(수마): 견딜 수 없이 오는 졸음 ② 睡眠(수면): 잠 ③ 睡癖(수벽): 자는 버릇 ④ 睡鄕(수향): 꿈나라
誰(누구 수): 言(말씀 언)+隹(새 추)
① 誰某(수모): 아무개 ② 誰昔(수석): 옛날 ③ 誰何(수하): 성명이 분명치 않은 사람
遂(이룰 수): 㒸(다할 수)+辶(쉬엄쉬엄 갈 착)
① 遂事(수사): 벌써 다 된 일 ② 遂誠(수성): 정성을 다함 ③ 遂行(수행): 계획한 대로 해냄 ④ 遂意(수의): 뜻을 이룸
雖(비록 수/오직 유): 虫(벌레 충)+唯(오직 유)
① 雖然(수연): 비록 그러하나
須(모름지기 수): 彡(털 자랄 삼)+頁(머리 혈)
① 須髮(수발): 턱에 있는 수염 ② 須要(수요): 없어서는 안 될 일
③ 須臾(수유): 잠깐 ④ 須知(수지): 마땅히 알아야 할 일
垂(드리울 수): 丿(삐칠 별)+卉(풀 훼)+土(흙 토)
① 垂髮(수발): 뒤로 길게 늘어질 머리 ② 垂範(수범): 본보기가 됨
③ 垂楊(수양): 수양버들의 준말 ④ 垂訓(수훈): 후세에 전하는 교훈
壽(목숨 수): 老(늙을 로)의 변형+(장수할 수)의 변형
① 壽命(수명): 타고난 목숨 ② 壽福(수복): 오래 사는 일과 행복을 누리는 일
③ 壽宴(수연): 장수를 축하하는 잔치 ④ 壽夭(수요): 오래 삶과 일찍 죽음
帥(장수 수): 𠂤(쌓일 퇴)+巾(수건 건)
① 帥乘(수승): 대장과 갑사 ② 帥臣(수신): 병마절도사와 수군절도사를 일컫는 말
愁(근심 수): 秋(가을 추)+心(마음 심)
① 愁困(수곤): 근심 걱정으로 고생함 ② 愁亂(수란): 수심이 몹시 심하여 정신이 어지러움
③ 愁眉(수미): 근심에 잠겨 찌푸린 눈썹 ④ 愁心(수심): 근심스러운 마음
殊(다를 수): 歹(앙상한 뼈 알)+朱(붉을 주)
① 殊怪(수괴): 의심스럽고 수상함 ② 殊力(수력): 뛰어난 힘 ③ 殊勳(수훈): 특별히 큰 공훈
獸(짐승 수): 嘼(산짐승 휴)+犬(개 견)
① 獸面(수면): 짐승의 얼굴 모양을 본떠 만든 탈 ② 獸性(수성): 짐승의 성질 ③ 獸心(수심): 짐승같이 사납고 모진 마음
輸(보낼 수): 車(수레 차)+兪(대답할 유)
① 輸送(수송): 기차, 비행기, 자동차 따위로 사람이나 물건을 실어 보냄
② 輸運(수운): 물건을 운반하는 일 ③ 輸入(수입): 외국의 물품을 들여옴 ④ 輸出(수출): 외국으로 물품을 내보냄
隨(따를 수): 阝(언덕 부)+遀(따를 수)
① 隨感(수감): 마음에 느껴지는 그대로의 생각 ② 隨命(수명): 타고난 운명에 따름 ③ 隨想(수상): 생각나는 대로
需(구할 수): 雨(비 우)+而(말이을 이)
① 需給(수급): 수요와 공급 ② 需要(수요): 재화에 대하여 가지는 욕망
③ 需用(수용): 사물을 꼭 써야 할 곳에 씀
秀(빼어날 수): 禾(벼 화)+乃(孕<아이 밸 잉>의 줄임)
① 秀麗(수려): 산수의 경치가 뛰어나고 아름다움 ② 秀眉(수미): 뛰어나게 아름다운 눈썹
③ 秀才(수재): 머리가 좋고 재주가 뛰어난 사람
修(닦을 수): 攸(바 유)+彡(터럭 삼)
① 修交(수교): 나라 사이와 나라 사이에 국교를 맺음 ② 修己(수기): 자기의 몸과 마음을 닦음
③ 修身(수신): 수행하여 몸을 닦고 행실을 올바르게 하는 일 ④ 修行(수행): 행실을 닦음
受(받을 수): 爪(손톱 조)+舟(배 주=배 모양의 술잔)의 변형+又(또 우=손)
① 受難(수난): 견디기 어려운 힘을 당함 ② 受侮(수모): 남에게 모욕을 당함
③ 受業(수업): 기술이나 학업의 가르침을 받음 ④ 受胎(수태): 아이를 뱀
守(지킬 수): 宀(집 면)+寸(마디 촌)
① 守舊(수구): 묵은 습관을 지킴 ② 守門(수문): 문을 지킴 ③ 守備(수비): 힘써 지켜 막음
④ 守節(수절): 절개를 지킴 ⑤ 守護(수호): 지키어 보존함
授(줄 수): 扌(손 수)+受(받을 수)
① 授受(수수): 물품을 주고 받음 ② 授業(수업): 학업을 가르쳐 줌
③ 授乳(수유): 젖먹이에게 젖을 먹음
收(거둘 수): +攵(칠 복)
① 收監(수감): 잡아서 옥에 감금함 ② 收金(수금): 받을 돈을 거둬 들임
③ 收納(수납): 거두어 들여서 바침 ④ 收縮(수축): 오그라듦
首(머리 수): 사람의 머리를 앞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
① 首級(수급): 싸움터에 베어 얻은 적군의 머리 ② 首肯(수긍): 옳다고 인정함
③ 首腦(수뇌): 중요한 자리에 있는 사람 ④ 首勳(수훈): 첫째 가는 큰 공훈
樹(나무 수): 木(나무 목)+尌(세울 주)
① 樹林(수림): 나무가 우거진 숲 ② 樹木(수목): 살아있는 나무
③ 樹液(수액): 땅속에서 나무의 줄기를 통하여 잎으로 올라가는 액
手(손 수): 다섯 손가락을 편 모양을 본뜬 글자
① 手匣(수갑): 죄인의 두 손을 채우는 자물쇠 ② 手巾(수건): 얼굴이나 몸을 닦기 위하여 만든 베 조각
③ 手工(수공): 손으로 하는 간단한 공예 ④ 手腕(수완): 일을 꾸미거나 치러나가는 재간
數(셀 수/자주 삭): 婁(별 이름 루)+攵(칠 복)
① 數量(수량): 개수와 분량 ② 數理(수리): 수학의 이론이나 이치
③ 數値(수치): 계산하여 얻은 수의 값 ④ 數爻(수효): 일이나 물건의 수
水(물 수): 물이 끊임없이 흐르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
① 水道(수도): 물이 흐르는 일 ② 水路(수로): 뱃길
③ 水陸(수륙): 물과 뭍 ④ 水源池(수원지): 강이나 냇물의 흐름이 시작되는 곳
孰(누구 숙): 享(드릴 향)+丸(환약 환)
① 孰是孰非(숙시숙비): 시비가 분명하지 않음 ② 孰若(숙약): 양쪽을 비교해서 의문을 물어볼 때 쓰는 말
淑(맑을 숙): 氵(물 수)+叔(아재비 숙)
① 淑景(숙경): 봄의 맑은 경치 ② 淑女(숙녀): 선량하고 부덕이 있는 여자 ③ 淑性(숙성): 얌전하고 착한 성질
熟(익힐 숙): 孰(어느 숙)+火(불 화)
① 熟考(숙고): 충분히 생각함 ② 熟達(숙달): 익숙하고 통함 ③ 熟眠(숙면): 잠이 깊이 듦
④ 熟知(숙지): 충분히 앎 ⑤ 熟醉(숙취): 푹 취함
叔(삼촌 숙): (콩 숙)+又(또 우)
① 叔母(숙모): 숙부의 아내 ② 叔父(숙부): 아버지의 동생
③ 叔姪(숙질): 아저씨와 조카
肅(엄숙할 숙): 巾(수건 건)+又(또 우)+(깊을 연)
① 肅敬(숙경): 삼가 존경함 ② 肅啓(숙계): 삼가 아룀
③ 肅拜(숙배): 삼가 절한다는 뜻으로 윗사람에게 보내는 편지 끝에 쓰는 말 ④ 肅正(숙정): 엄하게 부정을 바로잡음
⑤ 肅淸(숙청): 조직 내의 반대자들을 없앰
宿(잘 숙): 宀(집 면)+佰(백사람 어른 백)
① 宿望(숙망): 오래도록 품은 소망 ② 宿命(숙명): 날 때부터 정해진 운명 ③ 宿食(숙식): 자고 먹음
④ 宿願(숙원): 오랜 소원 ⑤ 宿直(숙직): 직장에서 잠을 자며 지키는 일
循(부릴 순): 彳(자축거릴 척)+旬(열흘 순)
① 循行(순행): 여러 곳으로 돌아다님 ② 循環(순환): 쉬지 않고 연해 돎
③ 循環期(순환기): 자연현상 또는 인위적 기일이 순환하는 기간
殉(따라 죽을 순): 歹(앙상한 뼈 알)+旬(열흘 순)
① 殉敎(순교): 자기가 믿는 종교를 위해 목숨을 버림 ② 殉國(순국):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침
③ 殉職(순직): 직무를 다하다 목숨을 잃음
脣(입술 순): 辰(별 진)+月(육달 월)
① 脣吻(순문): 입술 ② 脣舌(순설): 입술과 혀 ③ 脣齒(순치): 입술과 이
巡(돌 순): 巛(내 천)+辶(쉬엄쉬엄 갈 착)
① 巡警(순경): 돌아다니며 경계함 ② 巡邏(순라): 순찰하여 경계함
③ 巡察(순찰):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사정을 살핌 ④ 巡廻(순회): 여러 곳을 돌아다님
旬(열흘 순): 勹(쌀 포)+日(날 일)
① 旬刊(순간): 열흘 만에 한 번씩 발행함 ② 旬報(순보): 열흘 만에 한 번씩 내는 보고서
③ 旬日(순일): 열흘 동안 ④ 旬葬(순장): 죽은 지 열흘 만에 지내는 장사
瞬(눈 깜짝일 순): 目(눈 목)+舜(무궁화 순)
① 瞬間(순간): 잠깐 동안 ② 瞬時(순시): 눈 한 번 감짝할 동안
③ 瞬息(순식): 순식간 ④ 瞬息間(순식간): 극히 짧은 동안
純(순수할 순): 糸(실 사)+屯(모일 둔: 새싹을 뜻함)
① 純潔(순결): 아주 깨끗함 ② 純固(순고): 순수하고 견고함 ③ 純朴(순박): 꾸밈이 없고 순수함
④ 純粹(순수): 다른 것이 조금도 섞임이 없음 ⑤ 純一(순일): 다른 것이 섞이지 아니함
順(따를 순): 川(내 천)+頁(머리 혈)
① 順境(순경): 마음먹은 대로 되는 경우 ② 順德(순덕): 꾸밈없는 유순한 덕 ③ 順理(순리): 도리에 순종함
④ 順調(순조): 예정대로 잘 되어가는 상태 ⑤ 順從(순종): 순순히 복종함
戌(개 술): 戊(무성할 무)+一(한 일)
① 戌年(술년): 태세(太歲)의 지지(地支)가 술(戌)로 된 해 ② 戌時(술시): 19:00-21:00
述(지을 술): 朮(차조 출)+辶(쉬엄쉬엄 갈 착)
① 述語(술어): 주어에 대하여 그 동작, 상태, 성질 등을 설명하는 말 ② 述義(술의): 뜻을 폄
③ 述作(술작): 책 따위를 지어 만듦 ④ 述懷(술회): 마음 먹은 여러 가지 생각을 말함
術(재주 술): 行(다닐 행)+朮(차조 출)
① 術客(술객): 풍수(風水), 복서(卜筮), 점술(占術)에 정통한 사람 ② 術計(술계): 술책
③ 術法(술법): 음양과 복술 따위에 관한 실현 방법 ④ 術策(술책): 어떤 일을 꾸미는 꾀나 방법
崇(높을 숭): 山(뫼 산)+宗(마룻대 종)
① 崇古(숭고): 뜻이 존엄하고 고상함 ② 崇文(숭문): 글을 숭상함
③ 崇仰(숭앙): 높여 우러러 봄 ④ 崇儒(숭유): 유교를 숭상함
濕(젖을 습): 氵(물 수)+㬎(드러날 현)
① 濕疥(습개): 다친 부위가 열감이 있으면서 가렵고 아픈 피부병. 긁어 상처를 내면 노란 물이 나옴
② 濕厥(습궐): 비를 많이 맞아서 머리가 어지럽고 아픈 증상 ③ 濕氣(습기): 축축한 기운
拾(주울 습): 扌(손 수)+合(합할 합)
① 拾得(습득): 무엇을 주워 얻음 ② 拾遺(습유): 떨어뜨린 것을 주움
③ 拾集(습집): 하나하나 주워 모음
襲(엄습할 습): 壟(둔덕 롱)+衣(옷 의)
① 襲擊(습격): 갑자기 적을 습격하여 침 ② 襲殺(습살): 습격하여 죽임
③ 襲衣(습의): 옷을 갖추어 입음 ④ 襲爵(습작): 선대의 작위를 이어받음
習(익힐 습): 羽(깃 우)+白(흰 백)
① 習慣(

'한자마인드맵' 카테고리의 다른 글
3급 한자 부수로 쪼개기-이응편2 (0) | 2023.05.05 |
---|---|
3급 한자 부수로 쪼개기-이응편1 (0) | 2023.05.05 |
3급 한자 부수로 쪼개기-시옷편1 (0) | 2023.05.05 |
3급 한자 부수로 쪼개기-비읍편2 (0) | 2023.05.05 |
3급 한자 부수로 쪼개기-비읍편1 (0) | 2023.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