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우리나라 능력주의의 폐해

by 제세안민 2023. 10. 7.

능력주의는 개인의 능력과 성과에 따라 보상을 분배하는 원칙을 말합니다. 이는 공정성, 경쟁, 효율성 등을 강조하며, 자기 계발과 노력에 대한 보상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도 있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런 능력주의가 사회 내에서 부작용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1. 과도한 경쟁 문화

우리나라에서 능력주의는 교육 분야에서 특히 도드라집니다. 학생들은 입시와 성적에 집중하게 되며, 그로 인해 과도한 스트레스와 부담감을 겪게 됩니다. 이러한 환경은 학생들 사이에 건강하지 못한 경쟁 문화를 조장하고, 창의성과 다양성 등 중요한 가치를 소외시킬 수 있습니다.

2. 사회적 격차 심화

능력주의 체제 하에서는 개인의 성공이 그 개인의 노력과 재능에 의해 결정된다고 가정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출신 배경, 교육 기회 등 외부 요인이 크게 작용합니다. 따라서 이런 시스템은 이미 유리한 환경에서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며, 결과적으로 사회적 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3. 인간 가치 간과

'능력'만을 강조하는 체제는 다른 중요한 인간 가치를 간과하기 쉽습니다. 예를 들어 배려심이나 협동심 같은 도덕적 가치, 창조성이나 독창성 같은 창작적 가치 등은 평가되기 어렵지만 매우 중요합니다.

4. 직업 선택에 대한 왜곡

'능력' 기준으로 보상을 분배한다면 어떤 직업이 '가치있는' 것인지 판단하는 기준도 왜곡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일부 직업군(예: 의사, 변호사 등)이 과도하게 선호받을 수 있고, 다른 중요한 직업군(예: 교사, 사회복지관 등)은 소외될 수 있습니다.

능력주의는 효율성과 공정성을 추구하는 중요한 원칙이지만, 그것이 절대적인 가치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능력 외에도 다양한 인간 가치를 인정하고 평가하는 폭넓은 시각이 필요합니다. 또한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균등한 기회를 제공하려는 노력도 중요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우리 사회는 능력주의의 긍정적인 측면을 유지하면서 그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